썸네일 JSP 내장 객체 영역(Scope)/page/request/session/application - 내장 객체의 영역(Scope)각 객체가 저장되는 메모리의 유효기간JSP는 페이지 단위로 구성된다 -> A 페이지에서 선언한 변수를 B 페이지로 이동해서도 계속 접근하기 위해서는, 영역을 통해 내장 객체에 저장된 속성값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.- 내장 객체의 네 가지 영역page 영역: 동일한 페이지에서만 공유, 페이지 벗어나면 소멸request 영역: 하나의 요청에 의해 호출된 페이지, 포워드(요청 전달)된 페이지까지 공유session 영역: 클라이언트가 처음 접속한 후 웹 브라우저를 닫을 때까지 공유application 영역: 한 번 저장되면 웹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될 때까지 유지범위의 크기는 application > session > request > page더 큰 범위를 가진 영역은 작은 범위의..
썸네일 JSP 내장 객체/request/response/out/application/exception - 내장 객체(Implicit Object)란 JSP 페이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JSP 컨테이너에 미리 정의된 객체이다. JSP 페이지가 실행될 때 컨테이너가 자동으로 내장 객체의 참조변수를 생성하기 때문에, 별도의 선언/초기화 없이 즉시 사용할 수 있다. 내장 객체 참조변수 생성은 JSP -> Servlet으로의 변환 과정에서 생기는 _jspService() 메서드에서 이루어진다. 내장 객체는 JSP 내의 , 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, 에서는 매개변수로 전달받아야만 사용 가능하다. - 내장 객체의 종류 | (타입) 객체명 (HttpServletRequest) request: 클라이언트의 요청 정보 저장 (HttpServletResponse) response: 클라이언트 요청에 대한 응답 정보 저장 (..
썸네일 JSP(Buffer/autoFlush 속성) 0. JSP 파일 실행 과정 1. 서블릿 코드로 변환된 후 2. 컴파일 되어 class 파일로 만들어진다. 3. 이를 실행한 결과물을 HTML 형태로 웹 브라우저에 보내 최종적으로 화면에 출력한다. JSP가 생성한 결과는 웹 브라우저로 즉시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, 우선 버퍼에 저장되었다가 일정량이 되었을 때 전송한다. 만약 실행 중 에러가 발생하면 버퍼에 저장된 내용을 삭제하고 에러화면을 표시한다. JSP에서는 버퍼를 사용함으로써 페이지 전달(포워드) 에러 페이지 처리 를 할 수 있다. 더보기 * 버퍼 (Buffer) 버퍼라는 개념은 매우 다양하게 사용된다.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곳은 스트리밍 서비스이다.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, 작은 단위로 여러번 전송하는 것보다 큰 단위로 한 번에 보내는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