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2/12/06 TIL | Spring Framework, 특징

    반응형

    💭 오늘의 학습 전략

    #  Spring Framework

    Spring Framework 아키텍처

     ◻ 버드 아이 뷰

     ◻ Spring Framework 모듈

      Spring Boot

     Spring Framework 특징

      POJO(Plain Old Java Object)

      IoC(Inversioin of Control)/DI(Dependency Injection)

      AOP(Aspect Oriented Programming)

     ◻ PSA(Portable Service Abstraction)

    ◾ Spring Boot

    🌼 학습한 것들

    Framework / Library :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권의 차이

    ◾ POJO

     - "순수한 Java 객체"

     - 특정 환경/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프로그래밍 기법

      => [객체지향적] 설계를 제한없이 적용

    ◾ IoC

     - 애플리케이션 흐름의 주도권을 Spring이 갖는다.

    ◾ DI

     - IoC 구체화

     - 예제코드를 통한 이해

     - Service를 어떻게 주입해줄지

     - 느슨한 결합

    ◾ AOP

     - 관심 지향 프로그래밍

     - 핵심 업무에서 공통 기능 로직 분리

     * 공통: 앱 전반의, 부가적인 관심 사항

    ◾ PSA

     - 추상화 -> 서비스 접근 방식 일관되게 유지함으로써 기술 유연하게 사용, 변화에 대한 최소변경

     

     

    💨 하루를 마치며

    1. 드디어 스프링이 시작되었다. 생각보다 오늘 학습할 양이 많아서 막판엔 조금 지쳤다.

    2. 개인적으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IoC/DI의 개념을 예제 코드를 통해 바로잡을 수 있어서 좋았다.

    3. 전에 아무것도 모르고 권한 관리를 AOP 통해 해보려 했었는데 제대로 된 개념을 이제야 잡았다...!!!

    4. PSA는 정말 처음 들어봤다. 이러한 용어가 있는 줄 모르고 있었는데 깊게 이해는 하지 못 한 것 같다. 자바를 공부하면서 배웠던 추상화를 적용한 개념인 것 같다.

    5. 놓친 부분을 제대로 잡고 가기 위해서 꽤 집중을 했는데 앞으로도 꼼꼼히 공부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.

    반응형

    '공부기록 > 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    2022/12/08-09 TIL | DI  (0) 2022.12.09
    2022/12/07 TIL | Spring Framework 모듈 구성, SpringBoot  (0) 2022.12.07
    2022/12/05 TIL | Learn Schema / SQL 과제  (0) 2022.12.05
    2022/12/02 TIL | 데이터베이스  (0) 2022.12.02
    2022/12/01 TIL | SQL  (0) 2022.12.02

    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