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💭 오늘의 학습 전략
# Stack, Queue
◼ 연습 문제
# Tree
◼ 개념, 구조, 목적
◼ 연습 문제
# Graph
◼ 개념, 구조, 목적
◼ 연습 문제
# Binary Search Tree
◻ 개념, 구조, 목적
◼ 연습 문제
🌼 학습한 것들
◼ Tree
- Leaf node: 트리구조의 끝 지점. 자식노드 없음
- Height, Depth, Level
- Sub Tree
◼ Graph
- 인접 행렬
- 인접 리스트
- 가중치 그래프/비가중치 그래프: 연결 강도 표기 유무
- 자기 루프: 정점에서 진출하는 간선이 곧바로 자신에게 진입 (다른 정점 거치지 않음)
◼ BinarySearchTree
- 이진트리: 자식 노드가 최대 두 개인 노드들로 구성된 트리
- 이진 탐색트리: 왼쪽 값 < 루트(부모) 값 < 오른쪽 값
한 쪽으로 노드가 몰리게 되어 탐색 시간이 더 걸릴 수도 있다. 삽입/삭제마다 트리 구조를 재조정 할 수도..
🔥 보충이 필요한 것들
◼ [Queue] 박스 포장 -> 큐로 풀기
◼ Node를 사용한 이진 탐색트리 구현, 특히 순회(전위/중위/후위)
◼ ArrayList로 그래프 구현해보기
💨 하루를 마치며
1. 많이 게을러졌다^-^;;ㅠ
2. 복잡한 문제를 엄청 간단하게 풀어냈다. 그래서 기분이 좋았다. 테케를 모두 통과했을 때 기분이 너무 짜릿하다.
3. 문제를 풀거나 설명을 들을 때 살짝 답답한 부분이 있지만,, 열심히 해보려고 한다
4. 포스팅/프로그래머스/독서 를 함께 하기 어렵다ㅠ. 그런데 블로그 비중을 줄이니 코드 칠 시간이 많아서 좋긴 하다.
5. 아차차 얼른 재귀 유닛 회고 끝내야겠다
반응형
'공부기록 > 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2/11/24 TIL | 시간 복잡도, 알고리즘(Greedy, Brute-force, Binary search) (0) | 2022.11.24 |
---|---|
2022/11/23 TIL | 트리 순회, 그래프 정적 탐색 (0) | 2022.11.23 |
2022/11/21 TIL | Stack, Queue (0) | 2022.11.21 |
2022/11/17 TIL | 재귀 (0) | 2022.11.17 |
2022/11/16 TIL | 모의 기술면접(1) (0) | 2022.11.16 |
댓글